오래전부터 블로그는 개인이 쉽게 운영할 수 있는 콘텐츠 저장소 성격의 사이트였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네이버블로그, 티스토리, 이글루스 등 여러 블로그 서비스를 활용해서 자신만의 블로그를 꾸몄죠. 마치 우리나라에 개인 홈페이지 열풍이 불었던 것과 같이 2010년대 초반에는 블로그 열풍이 불었습니다. 너도나도 블로그를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블로그 열풍이 그렇게 오래 가지는 못했습니다.
블로그가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경쟁체제가 만들어졌고, 꾸준하게 글을 작성하지 않으면 방문자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블로그로 돈을 벌 수 있다는 수익형 블로그가 소문이 돌면서 다시 블로그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지만, 이것도 얼마 가지 못했습니다.
꾸준하게 블로그에 글을 쓴다는 것 자체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블로그를 길게 운영하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길어야 1년 정도 운영하다가 포스팅 간격이 길어지고 결국에는 죽은 블로그가 되기를 반복하죠.
2010년대 후반부터는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더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글 위주의 블로그보다 영상 중심의 유튜브가 대중의 시선을 끄는 것이 쉽기 때문입니다. 최신의 컴퓨터 정보, Windows 운영체제와 관련된 소문 등등 다양한 정보를 포스팅하던 블로거도 어느샌가 유튜버가 되어있는 등 지금은 유튜브가 콘텐츠 소비시장의 트렌드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2020년대에는 틱톡이나 릴스, 숏츠 등 숏폼이 새로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블로그 시장이 완전히 죽은 것은 결코 아닙니다. 네이버에 무엇이든 검색을 해보면 알겠지만, VIEW 영역 또는 별도 영역(사회적으로 이슈되는 주제에 한하여)에 블로그 글이 많이 검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오늘 작성된 글도 검색될 정도로 블로그 콘텐츠는 활발하게 만들어지고 있고, 네이버에서도 블로그 서비스에 미약하지만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블로그 운영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블로그 자체가 어려운 플랫폼일까요? 아닙니다. 블로그는 그 어떤 콘텐츠 플랫폼보다 운영하기 쉽습니다. 특히 네이버블로그나 티스토리를 이용하면 굉장히 쉽고 간단하게 블로그를 만들고 포스팅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꾸준하게 포스팅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겁니다.
간단한 것을 이렇게 길게 설명했습니다. 블로그 운영은 꾸준한 포스팅에 달려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꾸준하게 포스팅할 수 있는 원동력은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이 글에서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자신이 좋아하는 주제 찾기
무작정 블로그를 만든다고 쉽게 운영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주제로 운영할지 잘 생각해보고 블로그를 만들어야 꾸준하게 포스팅을 계속하면서 원활하게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주제는 나름 꽤 중요한 요소입니다. 자신의 블로그를 브랜드화해주는 요소가 바로 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성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책 읽기를 좋아한다’라면 독서와 관련된 글, 예를 들면 서평을 포스팅해도 되고, ‘게임을 좋아한다’라면 게임과 관련된 글, 예를 들면 게임 플레이 영상을 올리고 부가적인 설명을 덧붙인다든지 하는 등의 주제를 정하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면서 블로그에 포스팅도 할 수 있어 꾸준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당신이 좋아하는 주제는 무엇인가요? 쇼핑? 게임? 컴퓨터 조립? 프로그래밍? 독서? 아무거나 주제로 삼아도 되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주제로 선정하세요.
2. 다른 블로그 방문하기
‘이번에는 어떤 글을 쓸까?’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이건 혼자 오랫동안 고민한다고 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고민할 시간에 다른 사람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방문해서 글을 읽고 공감을 해주다보면 어느순간 새로운 글의 대략적인 틀이 떠오릅니다.
어떤 블로그의 글을 읽고, ‘이것보다 내가 더 잘 쓸 것 같은데?’ 생각이 든다면 그 글을 참고해서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작성해도 됩니다.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보면 내가 쓰면 더 잘 쓸 것 같은 글 주제들이 많이 눈에 띌 겁니다.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 뉴스 검색 & 사회이슈 찾기
저는 블로그에 사회적 이슈, 연예 이슈 등 단기적 정보에 관한 것은 최대한 포스팅하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왜냐하면 이런 종류의 글은 매일매일 꾸준하게 오랫동안 작성을 하고, 그날 포스팅한 글은 그날 바로 소비되고 이후부터는 소비되지 않는, 정보성을 가지는 기간이 너무 짧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처음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뉴스나 연예 이슈, 사회적인 이슈를 찾아보고, 이에 대한 내 생각을 적어보는 것도 꽤 좋은 블로그 운영 전략입니다. 처음부터 너무 부담감을 가지고 고품질의 글을 써야겠다 생각을 가지면, 오히려 블로그 운영이 어려워지고 블로그를 멀리하게 되니, 처음에는 사회적 이슈를 포스팅하면서 글 쓰는 재미를 들여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4. 공부하는 내용 정리하기
만약 지금 무엇인가 공부하는 것이 있다면, 오늘 공부했던 내용을 포스팅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공부 콘텐츠는 소비층이 제한적이고 방문자 수에 제한이 있을 것 같지만, 꾸준하고 오랫동안 소비되는 콘텐츠 주제가 바로 공부입니다. 왜냐하면 학문적 내용을 포함하여 우리가 공부하는 모둔 내용은 것이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수능 공부를 하고 있다? 그러면 오늘 공부했던 수학 공식을 블로그에 올려도 되고, 나만의 문제 풀이 방법을 포스팅해도 됩니다. 한국사를 공부했다면 오늘 배운 내용에 대한 내 생각을 적어보는 것도 좋고요. 지금 생각해보면, 무엇인가 공부를 한다는 것은 새로운 지식을 얻는다는 것이기에 블로그 포스팅에 좋은 환경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지금까지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가장 중요하고, 꼭 가져야 하는 습관, 꾸준한 포스팅 노하우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저는 블로그를 오랫동안 운영만 해왔지, 그렇다 한 성과를 낸 것도 아니고, 많은 노하우를 가진 것도 아니어서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