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플레어 도메인에 웹 호스팅 연결하는 방법

클라우드플레어 도메인에 웹 호스팅 연결하는 방법

이전 글은 클라우드플레어에서 도메인을 구매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도메인을 구매했으니 이제는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웹 호스팅을 신청하고 도메인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클라우드플레어에서 도메인을 구매하면 웹 사이트 등록을 통해 관리 기능을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클라우드플레어 대시보드에 접속한 후 좌측 메뉴에서 웹 사이트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우측 상단의 사이트 추가 또는 Add a Site 버튼을 클릭합니다.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하고 사이트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 클라우드플레어에서 도메인을 구매하는 경우 별도의 절차 없이 관리중인 웹 사이트 목록에 나타날 수 있으니 이 과정은 생략 가능합니다.

우리가 설정해야 하는 내용은 DNS입니다. 좌측 메뉴에서 DNS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는데, 도메인을 처음 구매한 경우 아무것도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겁니다. 이것은 DNS 설정이라고 하는데 해당 도메인을 어떤 서버로 연결할 것인지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도메인을 웹 호스팅 서버에 연결하려면 빨간색 박스에 해당하는 것을 추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웹 호스팅 서버의 아이피 주소를 알아야 하므로 일단은 웹 호스팅 서비스를 신청하고 해당 서버의 아이피 주소를 알아내야 합니다.

⭐ CNAME은 일종의 별명입니다. 이 블로그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기본 서브 도메인은 www입니다. 서브 도메인을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www에 연결됩니다. 아래 설정은 서브도메인에 www를 입력하면 walterz.net 도메인으로 연결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글에서는 카페24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카페24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이 블로그도 카페24에서 서비스를 제공 받고 있습니다. 클라우드플레어에 웹 호스팅 서비스가 있다면 좋겠지만 아직까지는 없는 것 같아서 일단은 카페24를 사용해보도록 합니다. 제가 발견하지 못 했을 수도 있으니 만약 알고 계신 분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카페24에서 웹 호스팅 신청하고 도메인 연결하기

카페24 호스팅 바로가기: https://hosting.cafe24.com/

먼저 카페24 호스팅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합니다.

제가 추천하는 카페24 웹 호스팅 서비스는 10G 광아우토반 FullSSD+ 입니다. 일단 가격이 저렴하고 넉넉한 웹 용량과 블로그를 운영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트래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워드프레스를 운영할 때 주의해야 하는 점은 최신 버전의 PHP 인터프리터와 MySQL 서버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인데, 이 상품은 다른 업체 대비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기 때문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데 유리합니다.

그리고 구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간단하게 상위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관리자 패널을 지원하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아래는 이 상품의 가격표입니다. 처음 블로그를 시작하는 경우에는 절약형으로 사용하다가 블로그 규모가 점차 커짐에 따라 상위 플랜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카페24 호스팅에 로그인하고 웹 호스팅 플랜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신청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또 요구하는 것이 이상한데, 이것은 카페24에서 웹 호스팅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알고 있으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카페24는 각 웹 호스팅에 각자 다른 계정을 부여합니다. 예를 들어, 카페24 호스팅에 계정 A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웹 호스팅을 신청할 때 계정 B를 만들었다면, 계정 A는 마스터 계정이 되는 것이고 계정 B는 서브 계정이 되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아래 양식에서 신청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잘 입력하는 것은 중요하고 특히 패스워드는 잃어버리지 않게 해주셔야 합니다. 좀 더 아래로 내려가면 FTP, SSH, DB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칸이 있는데 이는 나중에 워드프레스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때 필요한 것으로 계정 패스워드와 다르게 지정해야 합니다. 매우 중요한 부분이니 꼭 숙지해주셔야 합니다.

회원 정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결제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반드시 설정을 해야 하는 부분은 위에서도 잠깐 언급했던 PHP 인터프리터 버전과 MySQL 버전입니다. 반드시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제일 위쪽에 있는 세트를 선택해줍니다.

⭐ MariaDB는 MySQL이 오라클사에 인수되면서 오픈소스로 재탄생한 MySQL 호환 데이터베이스입니다. MySQL과 거의 완벽하게 호환되기 때문에 MariaDB = MySQL로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도메인 선택 부분에서는 이전에 구매했던 도메인 주소를 그대로 입력해줍니다. 여기에서 도메인을 반드시 입력해주어야 웹 호스팅과 도메인이 연결됩니다. 그리고 웹 호스팅 비용을 결제하면 신청이 완료된 겁니다. 카페24는 웹 호스팅을 신청하면 곧바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나의 서비스 관리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웹 호스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는 서버 아이피 주소입니다. 아래 빨간색 박스에 있는 아이피 주소를 복사해두시기 바랍니다.

웹 서버 아이피 주소를 확인했다면 클라우드플레어 대시보드에 다시 들어갑니다. 등록된 사이트에서 웹 호스팅과 연결하고자 하는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좌측에서 DNS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빨간색 박스에 있는 것처럼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해줍니다.

루트 도메인 이름은 @ 으로 지정하면 되고 IPv4 주소에 아까 복사했던 서버 아이피 주소를 입력합니다. 마지막으로 저장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 필요한 경우 CNAME을 추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에는 레코드 추가 버튼을 누른 후 형식은 CNAME, 이름은 www, IPv4 주소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도메인 주소가 walterz.net 이라면 CNAME IPv4 주소는 walterz.net 가 됩니다.

⭐ DNS 설정을 마치고 홈페이지 접속이 안 되면 위에서 설명했던 CNAME 레코드를 추가해보시기 바랍니다. 자동으로 서브 도메인 www로 연결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DNS 설정이 끝나고 웹 브라우저에 구매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야 합니다. 아래 화면은 카페24 웹 호스팅 기본 페이지입니다. 여기에서부터 블로그 운영이 시작되는 겁니다.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수도 있고, XpressEngine과 같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워드프레스에 대한 호불호가 많이 갈리기 때문에 일단은 워드프레스를 설치해 사용해보다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 블로그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금까지 클라우드플레어에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웹 호스팅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글을 구성했지만 혹시나 중간에 막히는 부분이 있으면 꼭 댓글을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답글을 달아드리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워드프레스를 웹 서버에 설치하고 간단하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콘텐츠 관리 시스템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티스토리에 밀려 존재감이 약간 떨어지지만 블로그가 아닌 웹 사이트를 만드는 용도로는 많이 사용되고 있으니 관심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 워드프레스는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반드시 웹 서버에 설치 후 사용해야 합니다. 가입형 워드프레스도 있지만 조금 더 높은 자유도를 경험하고 싶다면 설치형 워드프레스가 딱 맞을 겁니다.

⭐이 블로그도 워드프레스로 만들어졌습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