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관점에서 본 피터 틸의 제로 투 원 (Zero to One)

재테크 관점에서 본 피터 틸의 제로 투 원 (Zero to One)

피터 틸은 실리콘밸리를 움직이는 파워그룹 ‘페이팔 마피아’의 대부로 불리는, 손꼽히는 스타트업 성공 사업가이자 벤처 투자자입니다. 1998년 전자결제시스템 스타트업 페이팔을 설립해 최고경영자로서 회사를 이끌었으며 2002년 페이팔을 상장시켜 빠르고 안전한 전자상거래 시대를 열었습니다. 2004년 페이스북에 첫 외부 투자자로서 투자했고 페이스북 이사로 활동한 경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같은 해 빅데이터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를 설립해 지금까지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 제로 투 원 피터 틸 소개 글 발췌

제로 투 원은 피터 틸이 스탠포드대학교에서 강연한 내용을 담은 책으로 본래 스타트업 창업에 관한 책이지만 주식투자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도 적지 않아 일부 내용을 소개해보려 합니다.

제로 투 원의 의미

우리는 초보 투자자입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 투자 분야에서는 초보자입니다. 전문적으로 투자 교육을 받은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초보 투자자가 저지르는 가장 흔한 실수는 투자하면 안 되는 기업에 투자하거나 미래성장성이 낮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투자자라면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야 합니다.

제로 투 원 (Zero to One)은 수익률 극대화 측면에서 반드시 알아두어야 하는 개념입니다. 제로 투 원은 세상에 없던 것을 창조한 기업을 의미하며 피터 틸은 제로 투 원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즈니스의 세계에서 모든 순간은 단 한 번밖에 일어나지 않는다. 앞으로 그 누구도 컴퓨터 운영체제를 만들어서 제2의 빌 게이츠가 될 수는 없다. 검색엔진을 만들어서 제2의 래리 페이지나 세르게이 브린이 될 수도 없으며, 또다시 소셜 네트워크를 만들어 제2의 마크 저커버그가 될 수도 없다. 이들을 그대로 베끼려는 사람이 있다면 정작 이들로부터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것이다. (…) 뭔가 새로운 것을 창조하면 세상은 0에서 1이 된다. 창조라는 행위는 단 한 번뿐이며, 창조의 순간도 단 한 번뿐이다. 그 한 번의 창조로 세상에는 낯설고 신선한 무언가가 처음으로 생겨난다.

경제학을 처음 배울 때, ‘완전경쟁’은 이상적인 상태인 동시에 기본적인 상태로 간주된다. 소위 완벽하게 경쟁적인 시장에서는 생산자의 공급과 소비자의 수요가 만나 균형을 달성한다. (…) 완전경쟁의 반대는 ‘독점’이다. 경쟁하고 있는 회사는 시장 가격에 물건을 팔 수밖에 없지만, 독점기업은 시장을 손에 쥐고 있으므로 스스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 이 책에서 ‘독점’이라고 할 때는 자기 분야에서 너무 뛰어나기 때문에 다른 회사들은 감히 그 비슷한 제품조차 내놓지 못 하는 회사를 가리킨다. 구글은 0에서 1을 이룬 대표적인 회사다.

어느 기업에 투자해야 하는가?

저는 경제학을 전공했습니다. 경제학에서는 완전경쟁이 이미 이루어진 상태임을 가정하고 경제현상을 연구합니다. 그래서 완전경쟁이 가장 이상적인 상태라고 생각하고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을 뿐더러 그럴 수도 없습니다. 독점이 존재하지 않으면 기업은 수익을 창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수익을 창출하는 회사는 독점 기업입니다. 그렇다고 불법적인 악덕 기업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기술력이 뛰어나 다른 기업에서 감히 넘보지 못 하는 기업이 독점 기업입니다. 우리는 독점 기업에 투자해야 합니다.

그럼 현실에 존재하는 독점 기업을 나열해볼까요?

  • 페이스북 (Facebook,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시스템/오피스 소프트웨어)
  • 구글 (Google, 검색 서비스)
  • 어도비 (Adobe, 디자인 소프트웨어)
  • 엔비디아 (NVIDIA,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
  • 클라우드플레어 (Cloudflare, 클라우드/에지컴퓨팅 네트워크)
  • 팔란티어 (Palantir, 빅 데이터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사실 위 기업들은 이 블로그에서 한 번 이상 언급했던 기업들입니다. 그 당시에도 세상을 지배하는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씀드렸었죠. 독점 기업은 대부분 기술 기업입니다. 뛰어난 기술로 경쟁자가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를 벌려놓은 기업입니다. 독점 기업에 투자한다면 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위에 나열한 기업 말고도 이 세상에는 수많은 독점 기업이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주변 사람들이 모두 사용하고 있는 공통된 서비스가 있다면 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업체가 바로 독점 기업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카카오톡을 서비스하고 있는 카카오가 독점 기업의 하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독점 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업?

스타트업은 사회 문제를 해결하거나 창업자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독자적인 기술을 가지고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스타트업은 독점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런데 사업 초기에는 독점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가늠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페이스북이나 마이크로소프트가 지금과 같은 독점 기업이 되리라고 생각한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마크 저커버그와 빌 게이츠는 알고 있었을 것입니다. 따라서 어떤 기업이 독점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 분석할 때 스타트업 창업자의 생각을 살펴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마크 저커버그는 세상의 모든 사람을 페이스북으로 연결시키겠다는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높은 금액에 페이스북을 인수하겠다는 대기업의 제안을 거절할 정도로 마크 저커버그의 목적의식은 뚜렷했습니다.

투자로 인한 손실이 두렵다면 독점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미국 증권시장에 이제 막 상장한 스타트업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습니다. 현명한 선택으로 투자한 스타트업이 페이스북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같은 독점 기업으로 성장한다면 굉장히 높은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는 최근 미국 증권시장에 상장했던 스타트업입니다. 한 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 에어비앤비 (Airbnb, 숙박 공유 플랫폼)
  • 버클리 라이츠 (Berkeley Lights, 바이오 세포 플랫폼)
  • C3 글로벌 (C3.ai, 인공지능 비즈니스 솔루션)
  • 스노우플레이크 (Snowflake, 데이터 웨어하우스)
  • 팔란티어 (Palantir, 빅 데이터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 빅커머스 홀딩스 (BigCommerce Holdings, 전자상거래 플랫폼)
  • 레모네이드 (Lemonade, 보험 IT)
  • 유니티 (Unity, 게임엔진)
  • 데이터독 (Datadog, 클라우드 모니터링)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