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블로그 사용 방법 간단 소개 (웹호스팅과 설치)

워드프레스 블로그 사용 방법 간단 소개 (웹호스팅과 설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디지털노마드가 유행처럼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디지털노마드란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디지털 유목민을 말합니다. 보통 인터넷이 가능한 공간에서 디지털 기기를 통해 일을 하기 때문에 첨단기기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을 일컫기도 합니다. 필자도 비록 지금은 직장인이지만 앞으로 2~3년 내에 디지털노마드가 될 수 있는 길을 만들기 위해 지금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은 디지털노마드를 위한 수익창출 매체 중 하나인 블로그에 관한 글입니다. 이 블로그를 구성하고 있는 워드프레스 관련 글이며 연재 형식으로 워드프레스의 모든 것을 파헤칠 예정입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내용, 웹호스팅 사용법과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웹호스팅 서비스 가입하기

워드프레스는 가입형과 설치형 두 가지로 구분되어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가입형은 카카오 티스토리와 비슷하게 가입만 하면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이고, 설치형은 본인이 직접 웹서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한 후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글에서는 설치형 워드프레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웹호스팅 서비스에 가입해야 합니다. 실제로 서버를 구매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통 개인블로그를 운영할 때에는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웹호스팅 서비스는 적게는 월 500원에서부터 많게는 월 수십만 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비용 구간을 제공합니다.

카페24 바로가기: https://www.cafe24.com/

필자는 카페24 웹호스팅을 이용하고 있어 이 글에서도 카페24 호스팅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를 이용하는데 가장 적합한 웹호스팅 서비스는 카페24 10G광호스팅입니다. 이 서비스는 MariaDB PHP 버전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워드프레스에서 요구하는 서버 사양을 충족시키는데 좋습니다.

카페24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단 사이트맵에서 웹호스팅 – 10G광호스팅을 클릭합니다. 해당 서비스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비용 구간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선택하면 됩니다.

보통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는 분들은 절약형을 선택합니다. 월 500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에 웹호스팅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웹 서버 용량이나 트래픽이 너무 적어보일 수 있겠지만 나중에 방문자 수가 많아지면 일반형이나 비즈니스 또는 그 이상으로 사양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 없습니다.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회원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이전에 먼저 카페24 회원가입을 했더라도 웹호스팅을 신청할 때에는 새로운 아이디를 하나 더 생성해야 합니다. 카페24에서는 한 개의 중앙 계정을 통해 여러 개의 웹호스팅 계정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웹호스팅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청아이디와 비밀번호는 웹호스팅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의미하며 이후에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때 사용됩니다. 이 아이디는 FTP DB 아이디로 사용되며 카페24 계정과는 별도로 관리됩니다. 패스워드는 16자 이내로 만들 수 있으며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처음 웹호스팅 서비스를 신청할 때에는 FTP SSH DB 패스워드가 동일하게 지정되는데 이후 카페24 관리자 페이지에서 각자 다른 패스워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단 지금은 모두 동일한 패스워드로 생성해줍니다.

회원정보를 모두 입력했다면 이번에는 서버 사양을 선택해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는 PHP 기반 웹 프로그램으로 웹 서버에 PHP와 MySQL(MariaDB)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카페24의 장점은 다양한 서버환경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규모가 작은 웹호스팅 업체에서는 단 하나의 옵션만 제공하는데 카페24는 여러 개의 옵션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것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는 보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항상 최신의 PHP 버전과 MySQL 버전을 요구합니다. 2020년 10월 19일 기준 현재 카페24에서 제공하는 가장 최신 PHP 버전은 7.3이고 MySQL은 MariaDB 10.0입니다. 가장 최신 버전의 PHP 옵션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도메인이 있다면 아래 화면에서 보유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카페24에 보유중인 도메인이 있으면 목록상자에서 바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처음 블로그를 시작하는 분들께서는 자체 도메인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글에서는 카페24 호스팅 무료 도메인 옵션을 선택하는 것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도메인을 등록하고 네임버서를 등록하는 과정이나 카페24 웹호스팅에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은 추후 별도의 글에서 설명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도메인을 선택하고 결제를 완료하면 카페24 웹호스팅 신청 과정이 모두 끝난 것입니다. 이제 관리자로서 카페24 호스팅센터에 들어갈 수 있으며 호스팅센터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여기에서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모든 웹호스팅 계정과 도메인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처음 웹호스팅을 신청하시는 분들께서 별도로 설정해주어야 하는 부분은 없으므로 이 글에서는 호스팅센터 사용방법을 따로 다루지는 않겠습니다. 필요하다면 추후에 다른 글에서 호스팅센터 세부 설정 관련 내용을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웹호스팅 신청이 끝났다면 이제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하고 웹 서버에 업로드해야 합니다. 티스토리와 같은 가입형 블로그와는 달리 설치형 워드프레스는 업로드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 컴퓨터에 워드프레스 파일이 있다고 바로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웹호스팅 서버에 워드프레스 업로드하기

워드프레스 바로가기: https://wordpress.org/

위 링크를 클릭하면 워드프레스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 사이트는 공식적으로 워드프레스를 배포하고 개발자를 위한 포럼과 블로그를 운영합니다. 워드프레스 개발에 관심이 많다면 한 번쯤 참고해봐도 좋은 사이트입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나타나는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우측 상단 Get WordPress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워드프레스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압축파일을 다운로드했다면 이제 원하는 폴더에 해당 압축파일을 해제합니다. 꽤 많은 파일들이 풀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파일들을 웹 서버에 업로드하여 인터넷 상에서 접속이 가능하게끔 해야합니다.

웹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할 때에는 SSH나 FTP를 사용합니다. SSH는 유닉스 기반 쉘인데 약간의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관계로 이 글에서는 FTP를 활용한 업로드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알드라이브 다운로드: https://www.altools.co.kr/Download/ALDrive.aspx

필자는 FTP 프로그램으로 알드라이브를 사용합니다. 특별히 좋은 기능이 있거나 성능이 우수해서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자동 업데이트가 되는 제품이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FTP 프로그램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해도 됩니다.

FTP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FTP 서버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호스트 입력칸에 웹호스팅 도메인 주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연결 버튼을 누릅니다. 여기에서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카페24 계정이 아닌 웹호스팅을 신청할 때 새로 입력했던 그 계정 정보를 말합니다.

FTP 서버에 연결되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나타납니다. 카페24 웹호스팅 같은 경우 처음 서비스가 시작되면 서버상에 hosting_index.html 파일 하나만 존재합니다. 이 파일은 삭제해주시고 워드프레스 파일 업로드를 위해 상단에서 업로드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전에 다운로드했더 워드프레스 압축파일을 풀었던 경로로 이동하여 wordpress 폴더 안에 있는 모든 폴더와 파일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열기버튼을 누르면 웹 서버에 워드프레스 파일이 업로드됩니다. FTP 업로드 속도를 파일 갯수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워드프레스는 업로드 시간이 생각보다 오래 걸립니다. 1분 정도 기다리면 업로드 프로세스 창이 사라지며 업로드가 완료됩니다.

업로드가 완료됐다면 이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야 합니다. 업로드 이후 알드라이브는 더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종료합니다. 그리고 아래의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단계를 따라하시면 워드프레스 설치가 완료됩니다.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웹호스팅 서버에 워드프레스 파일을 업로드하는데 성공했다면 이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야 합니다. 마지막 단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제 이 단계만 마치면 워드프레스 설치가 완료됩니다.

자신이 신청한 도메인주소를 웹브라우저에 입력해 접속합니다. 필자의 경우에는 카페24 무료도메인을 신청했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입력했습니다. 만약 자체 도메인을 신청했다면 그 도메인을 입력해 접속하면 됩니다.

필자 워드프레스 테스트 블로그: http://londoncity.cafe24.com/

도메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워드프레스 설치 프로세스가 시작됩니다. 가장 먼저 언어를 선택해야 합니다. 워드프레스를 전 세계적인 프로그램으로 모든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한국어를 선택하겠습니다.

언어를 선택하고 계속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사전 설명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모든 내용을 꼼꼼하게 읽어보시고 설치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때에는 데이터베이스 이름, 사용자명, 패스워드, 호스트네임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테이블 접두어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모든 정보는 wp-config.php 파일에 저장되며 이후 워드프레스를 초기화하고 싶다면 이 파일을 삭제하면 됩니다. 파일 삭제 방법은 FTP에 접속하여 삭제하는 방법과 SSH를 통해 삭제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설치 시작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웹호스팅 서비스에 가입할 때 입력했던 정보가 필요한 것인데,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사용자명에는 웹호스팅 아이디를 입력하면 되고 패스워드에 데이터베이스 암호를 입력해줍니다.

데이터베이스 호스트는 그대로 localhost를 유지해줍니다. 호스트네임은 데이터베이스 주소를 말하는 것으로 웹호스팅 서비스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웹 서버는 동일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localhost 또는 127.0.0.1을 호스트네임으로 사용합니다.

테이블 접두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앞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말합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웹 호스팅 계정 내 여러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데 워드프레스 데이터는 테이블 이름 가장 앞에 wp_ 를 추가하여 저장함으로써 다른 데이터와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그대로 wp_ 를 유지해줍니다.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모두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관리자 정보를 입력하는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블로그 관리자 정보를 입력합니다. 사이트 제목은 말 그대로 블로그 이름을 말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블로그 이름을 입력합니다. 한글로 해도 되고 영문으로 해도 됩니다.

사용자명은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할 때 사용되는 아이디입니다. 영문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암호는 특수문자를 포함하여 만들어주셔야 합니다. 생각보다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대한 해킹 시도가 많아 패스워드 무작위 대입 수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패스워드를 최대한 길게 만들어야 합니다.

검색 엔진 접근 여부는 반드시 체크 해제를 해줍니다. 여기에 체크하는 경우 검색 엔진 봇이 블로그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원하는 것이 수익형 블로그이기 때문에 검색엔진에서 활발하게 블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해주어야 합니다. 이것을 SEO라고 하는데 이 내용도 추후에 별도 글에서 설명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웹 서버에서 진행되는 것이다보니 속도가 빨라 곧바로 설치가 완료될 겁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관리자 페이지로 로그인합니다.

로그인 페이지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이전에 입력해두었던 사용자명과 암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합니다. 집에서 혼자 사용하는 컴퓨터라면 기억하기에 체크하여 로그인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로그인하는 방법은 자체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방법과 워드프레스닷컴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워드프레스닷컴은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라면 반드시 가입해야하는 서비스로 워드프레스 블로그 간 연결고리를 형성해줍니다. 그리고 각종 통계기능, CDN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후 워드프레스닷컴에 가입한 후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이제 여기에서 블로그를 꾸미고 글을 작성하고 새로운 플러그인을 다운로드하고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는 관리자 페이지에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어 블로그 관리가 간편합니다.

하나 하나 메뉴를 눌러보면서 워드프레스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가 초보자를 위한 블로그 프로그램은 아니기 때문에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겠지만 메뉴를 눌러보고 만져보면서 경험하다보면 쉬워집니다.

지금까지 웹호스팅을 신청하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여기까지 모두 따라오신 분이시라면 블로그 운영도 분명 잘 하실 수 있으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복잡한 과정 따라오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이제 워드프레스를 설치했으니 한 단계 고비는 건넌 것입니다. 이제 워드프레스를 둘러보면서 어떤 기능이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블로그가 작동되는 것인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조만간 워드프레스 초기 설정 관련 글을 작성하여 여러분들에게 많은 팁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One Comment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